기본적으로 마이크는 다이나믹마이크와 콘덴서마이크로 나뉨. 인터뷰할 때 핀마이크.
마이크 특성에 따라 상황에 따라 맞춰서 쓰이는 거지 절대적으로 옳고 그름은 없음.
음향팀이 없는 경우 작은 레코더를 사용해 녹음을 진행할 수 있음.
채널이 대략 8개 정도 되고 거기서 케이블을 빼서 다이나믹 아니면 콘덴서 마이크를 설치해서
녹음함. 레코더 자체적으로 저장장치를 가지는 경우도 있고 SD카드를 가지는 경우도 있고 USB
장치를 가지는 경우도 있음.
드럼같은 경우는 심벌에는 콘덴서마이크를 설치. 전통아기 가야금 거문고에도 콘덴서 마이크 설치.
마이크 간섭이 싫은 경우에는 다이나믹 마이크를 설치 하는 경우가 많음.
음향팀 경우 기타에서 TS케이블로 뺴내어 DI박스 연결한 뒤 하나는 콘솔로 하나는 앰프로 연결.
앰프에서 하나 녹음하고 하나는 바로 다이렉트로 녹음 하는 방식을 취함.
녹음실에서는 거의 콘덴서 마이크 사용.
드라마 녹음 현장에는 지향성 콘데서 마이크 사용.
--------------------------------------------------------------
콘덴서마이크는 음질이 좋고 수음볼룸이 크고 범위가 좋아 작은 소리까지 담아내어
미세하고 섬세하게 풍부하게 담아냄. 공간감까지 담아냄.
집안에 작은 소리까지 담아낼 수 없는 환경이라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 수 있음.
울림까지 담아내어 노이즈가 많이 생길 수 있음. 별도의 오디오인터페이스와 고정장치가 필요.
그리고 내구 내구성이 약함. 방송 레코딩이나 녹음실에서 주로 사용.
다이나믹 마이크는 상대적으로 수음력이 컨덴서의 비해 떨어짐. 내구성 충격 습기에 강함.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음. 가겨이 더 저렴함. 지향성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외부 소음이 적게 녹음이
되지만 미세한 소리까지 녹음은 힘듦.
떄문에 공연용에서는 오히려 더 장점이 될 수 있음. 주변환경이 시끄럽기 때문에 목소리 담을 수 있어서.
하지만 수음이 콘덴서 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거지 나쁘지 않은 느낌을 내기 떄문에
상황과 선택에 따라 쓰는게 맞음.
-------
소리느낌
콘덴서 - 공간감,퍼져서 들리는 느낌
다이나믹 - 먹먹함, 한 곳에 모여 있는 느낌
'영상 촬영 기술 기록 (비공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로플로_야외 촬영의 보완점 (0) | 2020.11.07 |
---|---|
지향성 무지향성 모노 스테레오 (0) | 2020.07.08 |
쇼조명에 관하여 ( 플리커 관한 등등 ) (0) | 2020.07.08 |
짐 벌 운용시 주의 할 점 (0) | 2020.07.08 |
로닌 M과 MX 사용시 용이한 세부 셋팅 값 설정 (0) | 2020.06.30 |